LOGO

돋보기

기업과 조합은 판매원 위해 무얼 할 수 있나? (2018-06-22 10:20)

경비 지출은 많지만 한국의 세법은 다단계판매원의 경비를 인정하지 않아 과도한 세금부담을 져야한다고 하소연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다. 세금 걱정할 정도로 돈을 버는 사람이 그다지 많지 않은 현실에서 리더들의 이러한 고민은 하위의 판매원에게는 배부른 투정으로 보이기 쉽다. 또 일반인의 눈에는 다단계판매 자체가 불로소득으로 비치는 바람에 납세의무를 거부하겠다는 것이냐는 비아냥을 들을 우려 또한 없지 않다.

짐작하건대 다단계판매원에게 부과되는 과도한 세율 또한 이 일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누구나 세금은 내야하는 거지만 일반적인 일보다 훨씬 더 많은 경비가 지출되는 다단계판매업에 대해 최소한의 경비만 인정한다는 것은 불공평한 처사이다.

종합소득세 신고 납부의 계절을 지나오면서 현장에서 가장 많이 듣는 소리가 바로 세율의 형평성에 관한 것이다. 그렇지만 800만 명을 헤아리는 다단계판매원들은 제대로 하소연할 곳마저 마땅치가 않다. 일에 바쁜 것도 그렇지만 다단계판매원이라는 신분으로는 입법에 관여하는 그 누구도 만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다단계판매원에게 부과되는 세금이 더욱 불공평하게 느껴지는 것은 매출액의 35%만 받도록 규정된 수당정책 때문이기도 하다. 수당률은 낮고 세율은 높은데다, 자동차 유지비나 행사추진비 등에 대한 공제혜택마저 받을 수 없어 판매원들의 체감 소득은 더 낮아질 수밖에 없다.

물론 일부 리더 중에는 흥청망청 사치와 허영으로 낭비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조직구축과 유지, 재건, 프로모션 등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 붓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관계로 판매원들은 공제조합이나 암웨이, 뉴스킨, 허벌라이프 등 규모가 크고 그나마 일반인들로부터 인정받는 회사들이 나서서 판매원에게 부과되는 세율을 낮추는 작업을 해주기를 바란다. 기업의 운영이나 공제조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고, 그 필요한 돈의 전부는 판매원의 활동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판매원들이 이의제기를 하기 전에 기업과 공제조합이 먼저 나서서 판매원들을 위해 길을 닦아야 했다.

과연 기업과 공제조합은 불철주야 고군분투하는 판매원들을 위해 뭔가를 해 본 적이 있는가.

이미 대한민국 다단계판매의 역사는 30년을 넘어서고 있지만 단 한 번도 판매원을 위해 특정 정책이 발현된 적은 없다.

수당지급률을 올려주기 싫다면 세율이라도 낮출 수 있도록 도와줘야 다단계판매의 미래를 담보할 수 있다. 규제만 있고 지원방안이라고는 없는 산업이 대한민국에 다단계판매업 빼고 또 있는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다단계판매기업은 국가의 정책적인 차원에서 65%라는 이익을 보장받고 있다. 5대 5도 아니고, 6대 4도 아니고, 6.5대 3.5의 비율로 판매원보다 훨씬 더 큰 혜택을 누린다. 그야말로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기업이 먹는 구조에 공제조합이 슬그머니 숟가락을 얹은 꼴이다.

그렇다면 기업과 공제조합도 회사를 키워 낸 리더들을 위해 발 벋고 나서야 할 명분은 충분하다. 상생이라는 말은 서로에게 도움이 된다는 말이다. 판매원들이 밤을 낮 삼아 뛰어다닌다면 하다못해 자동차 유지비, 지역 체재비라도 공제받을 여건을 마련해주는 것이 도리다. 


 

※ 저작권자 ⓒ 한국마케팅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목록으로

포토뉴스 더보기

해외뉴스 더보기

식약신문

사설/칼럼 더보기

다이렉트셀링

만평 더보기

업계동정 더보기

세모다 스튜디오

세모다 스튜디오 이곳을 클릭하면 더 많은 영상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날씨

booked.net
+27
°
C
+27°
+22°
서울특별시
목요일, 10
7일 예보 보기

TOP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