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NEWS
-
트렌드에 발맞춰 변화하는 유연성 필요
식품업계 ‘DEEP’ 마케팅 벤치마킹
[기획] 건강기능식품 정체기에 직판산업도 ‘경고등’(上) 마이너스 성장 우려 현실로(中) 건강기능식품 시장 정체와 다단계 시장 정체 우연일까? (下) DEEP한 제품으로 매출 반등 노려야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2024.08.29
-
“다양한 구매 경로 마련해야 발전 가능”
전 세계적 경기 불황에 업계 숨고르기
미국 다단계판매기업들이 수개월 새 연쇄적으로 사업모델을 전환하거나 법원에 파산을 신청하며 ‘다단계 엑소더스’가 이어지고 있다. 학계에서는 “다양한 유통경로를 마련해야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
2024.08.23
-
온라인 재판매 부메랑으로 돌아온다
정품 확인·AS·환불 어려워…화장품, 건기식 변질 우려
다단계업체의 제품을 구매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해당 회사에 등록된 판매원을 통해 구매하거나 본인이 직접 업체의 판매원으로 가입하여 홈페이지나 공식 쇼핑몰을 통해 구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렇지만 이 두 가지...
2024.08.23
-
동반 추락한 건기식과 다단계판매 시장
제품군 홍삼,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오메가3에 집중
[기획] 건강기능식품 정체기에 직판산업도 ‘경고등’(上) 마이너스 성장 우려 현실로(中) 건강기능식품 시장 정체와 다단계 시장 정체 우연일까?(下) DEEP한 제품으로 매출 반등 노려야2022년 최대 매출을 기록한 건강기능식품과 다단계판매 시장이 지난해 나란히 동반 추락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식약처가 발표한 ‘2023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에 따르면, 2...
2024.08.23
-
국내 건기식 사상 첫 마이너스 성장
경쟁 심화되는데 여전히 내수에 의존
[기획] 건강기능식품 정체기에 직판산업도 ‘경고등’(上) 마이너스 성장 우려 현실로(中) 건강기능식품 시장 정체와 다단계 시장 정체 우연일까?(下) DEEP한 제품으로 매출 반등 노려야지난해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2024.08.16
-
방문판매법, 철지난 규제 개선해야
최근 3년간 위반 58건…“판매원 등록증·수첩 필요없어”
최근 3년간 방문판매법을 위반한 다단계판매업체 대부분이 상호, 주소, 전화번호 등을 변경한 후 15일 안에 신고하지 못하거나 프로모션 시행 3개월 전에 판매원들에게 고지하지 못해 제재를 당했다. 또 일부 기업은 ...
2024.08.16
-
업계, 외연 넓혀야 승산 있다
잘 나가는 K-뷰티 (下)
K-뷰티가 직접판매업계의 새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의존이 높았던 업계가 K-컬쳐의 인기에 힘입어 한국 화장품의 수출이 역대 최대치에 이르자 ‘새 시장 잡기’에 주력하고 있는 모...
2024.08.16
-
과거보다 후퇴한 경영 도덕성 윤리 회복해야 정도 경영 가능
[기획] 다단계판매 어디로 갈 것인가? - <4>
2023년 대한민국에서 영업하는 모든 다단계판매업체의 매출이 발표됐다. 업계의 매출을 일괄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발표한다는 것도 우스운 일이기는 하지만, 그것보다 더 심각한 것은 수년째 고수해오던 5조 원대 매출이 깨진 것이다. 2022년과 비교했을 때 8.4% 떨어진 4조 9,606억 원을 기록했다. 금액으로 보면 4,560억 원이 감소한 것이다. 전문적이지 않은 전문 경영...
2024.08.16
-
검찰, 코인전담 수사조직 정식 직제화 추진
이원석 총장, “코인범죄 근절에 전력 다하라”…서울시는 “포상금 최대 2억”
비트코인 가격이 지난 8월 5일 11.9% 급락하면서 알트코인이 일제히 폭락하는 등 가상자산 투자를 비롯해 코인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이날 이원석 검찰총장은 가상자산 수사 전담 조직의 ...
2024.08.09
-
건강기능식품 역성장에도 직판업계는 선전
개별인정형과 업체별 수입 현황 부동의 1위
2023년 국내 건강기능식품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지만, 직판업체들은 개별인정형과 수입 실적에서 부동의 1위를 각각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최근 식약처가 발표한 ‘2023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 실적’에 따...
2024.08.09
TOP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