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돋보기

<목요일 오후> ‘초국경’ 시대가 온다 - C커머스의 습격

  • 정해미 기자
  • 기사 입력 : 2024-02-22 17:27
  • x

최근 저는 겨울 니트에 일어난 보풀을 정리하기 위해 보풀 제거기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대체적으로 15,000~3만 원 사이에 구매할 수 있었는데, 그 때 ‘1,800원 배송비 무료라는 문구에 시선이 꽂혔습니다. 열흘이라는 배송기간이 다소 흠이었지만 저렴한 가격에 그 정도는 눈 감아줄 만한 일이었습니다. 난데없이 보풀 제거기 이야기가 나왔지만 이것은 제 알리 첫 구매 후기입니다.

최근 알리익스프레스
(알리)와 테무(TEMU), 쉬인 등 ‘C커머스(중국 e커머스)’ 업체들이 국내 신규 가입자를 빠르게 늘리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지난달 알리 앱을 사용한 국내 소비자는 717만 명으로 1년 전에 비해 2배 이상 성장했습니다. 더 무서운 건 테무입니다. 테무의 한국 월간 사용자 수(MAU)는 국내 시장에 진출한 지 5개월 만에 1,200% 이상 급증했으며,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 마케팅클라우드에 따르면 지난달 테무의 MAU4591,049명으로 작년 8(337,225) 대비 10배 이상(1,261%) 증가했다고 합니다. ‘중국판 유니클로라 불리는 패션 쇼핑 앱 쉬인1년간 앱 이용자가 4배 이상 늘어 지난달엔 221만 명에 달하며 국내 영향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그야말로 ‘C커머스의 습격이라 부를만 합니다. 이들의 성공 이유는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프로모션, 수십만 가지가 넘는 제품군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테무의 경우 억만장자 쇼핑하기라는 콘셉트로 상품을 초저가에 판매하며 무료배송은 물론 90일 이내 무조건 반품을 내세우며 업계를 휩쓸었습니다.

이들 업체들이 국내 시장을 무서운 속도로 잠식해 들어오면서 한국 시장 역시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 관세청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해외직구 건수는 6,775만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9% 증가했고, 국가별 점유율에서도 미국을 앞지르며 1위 자리에 올랐습니다. 이에 토종 e커머스 기업들도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습니다. 지난 214,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중견기업정책관(국장급) 주재로 e커머스 업계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쿠팡, 네이버는 물론 11번가, 지마켓, SSG닷컴 등 국내 주요 e커머스 업체가 모두 참여한 이 자리에서는 사업체 정보가 불투명한 중국 e커머스 업체 현황, 국내 e커머스 업계의 애로 사항 등을 논의했다고 합니다. 국내 e커머스 업체들은 현재 중국 플랫폼에 대한 별다른 규제가 없는 상황에서 이들이 빠른 속도로 국내 시장을 잠식하는 상황을 그냥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표명했으며,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환불·민원이 증가하고 있지만 소비자를 보호할 장치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중국
e커머스가 공격적으로 한국 시장 공략에 나서는 이유는 경기 불황을 꼽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중국 내수 경기가 침체되면서 내수만으론 버틸 수 없게 되자 해외 시장에 대한 대대적 공세를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강력한 제조 인프라는 갖춘 상황에서 글로벌 물류 시스템을 결합해 세계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우겠다는 전략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알리는 연내에 국내 물류센터를 짓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합니다. 국내에 물류센터를 세우면 소비자가 주문하는 즉시 물건을 배송할 수 있습니다. 이미 지난해 6, 평택항과 가까운 산둥성 웨이하이·옌타이에 한국행 전용 물류센터를 지어 주문이 들어오면 즉시 배로 실어 나르고 있는데, 한달이 넘게 걸리던 배송 기간이 1주일 내로 단축된 배경이 여기에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물류센터가 국내에 생긴다면 원데이 배송도 가능해 지겠지요.

국내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 중국 플랫폼에 대해 국내
e커머스 업계 관계자들의 우려는 상당합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소비자에게는 무료배송, 납품 제조사에겐 수수료 무료를 제시하며 영향력을 키우겠지만,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면 완전히 다른 행태를 보일 것이라며 걱정을 쏟아냈습니다. 이 뿐만이 아닙니다. 얼마 전 본지에서도 한 번 다룬 바 있지만 e커머스를 통한 해외직구가 증가함에 따라 가장 우려 되는 부분은 바로 국민의 건강입니다. 식약처와 관세청은 해외직구로 반입되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단속을 이어가고 있지만 라벨 갈이’, ‘통 갈이등 세관 검사를 피하기 위한 수법을 진화시키며 단속을 피하고 있습니다.

직접판매업계도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리웨이와 같은 밀수를 통한 불법 다단계 업체들이 기승을 부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상품의 안전성 검사 부재와 무관세 등은 정상적인 영업을 하고 있는 직접판매업체에는 역차별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중국 업체들의 가격과 배송 경쟁력 등 거대 자본에 밀린 국내 소상공인들의 피해도 우려됩니다. 국민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제도개선과 개개인의 분별있는 소비가 더욱 필요한 때입니다.

 

정해미 기자mknews@mknews.co.kr  

※ 저작권자 ⓒ 한국마케팅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