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건강수명을 위해 신체 생리 균형을 잡아야 한다

핵심 생리과정 중 하나는 흡수와 배설이다. 영양이 아무리 중요하다 해도 그것을 제대로 소화하고 흡수시키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소화 흡수와 제거 배설이라는 과정 사이의 생리적 팀워크는 몸 전체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두 번째로 해독이다. 어떤 식으로든 우리는 공기, 물, 음식, 바이러스, 중금속, 장내 박테리아 및 세포 대사 등으로 인한 다양한 독성물질에 노출된다. 체내로 유입된 독소 물질은 해독해야 한다. 해독 과정은 대부분 간에서 진행된다. 이 과정을 통해 독성물질이 비독성 부산물로 바뀌며 신장과 장, 피부 등을 통해 배출된다.
다음으로 우리의 세포는 끊임없이 주변 환경을 감지하며 반응하면서 신체의 한 부위에서 다른 부위 사이에 생리적 메시지를 보내는 세포 연락 과정이 있다. 기본적으로 신경계는 뇌를 몸의 모든 부위와 연결시켜 준다.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등 다양한 특수 목적의 메신저는 해당 신체 기관의 생리 기능과 연락하고 영향을 미치는 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결합시킨다. 이 연락 메커니즘의 어느 곳에 기능 이상이 생기면 신체 생리에도 기능 이상이 일어나 수많은 만성질환과 관련된 신호와 증상을 일으킨다. 그리고 세포 수송에 기본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은 순환계, 림프계를 통해 작용한다. 이 수송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섭취한 음식을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불균형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곳이 미토콘드리아다. 이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통증이나 피로와 관련한 다양한 만성적 건강 문제가 발생된다.
마지막으로 뼈와 결합조직은 끊임없이 신체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적절한 신체 구조가 있어야 생리 기능이 가능하므로 신체 구조는 우리의 건강과 질병을 규정하는 요소가 된다. 신체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면 신체 기능에도 변화가 생긴다. 뼈 건강을 잃으면 골절의 위험뿐만 아니라 다양한 만성질환의 위험성도 함께 높아진다. 이런 생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불균형 등이 모든 영역에서 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나의 근본 원인이 서로 달라 보이는 다양한 장애로 나타난다. 실제로 우울증과 관절염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독립된 증상이 아니다. 관절염의 만성염증과 우울증의 신경전달 이상은 면역계와 내분비계 사이에 서로 연결 고리가 있다. 우리는 이들 각 신체 계통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수용체를 다른 두 계통의 세포 표면에서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신체 계통을 치료할 목적으로 개발된 약이 다른 계통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가진 건강 문제의 해결책은 그 문제에 이름을 붙이는 진단을 내리는 데서 찾을 수 없다. 질병이라는 기능 이상을 일으킨 생리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서 건강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김동하 소장>
- 신바이오생명과학연구소 연구소장
- 국제통합의학인증협회장, KBS 건강상식바로잡기출연
- 저서: 500세프로젝트, 장수유전자스위치를켜라, 향기파동치유요법 아로마테라피 등
※ 저작권자 ⓒ 한국마케팅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TOP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