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증시 거품인가…‘버핏지수 200%’
미국 시가총액, GDP의 2배
Weekly 유통 경제
올해 미국 증시 랠리가 지속되며 시가총액이 국내총생산(GDP)의 2배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 속에서 워런 버핏이 증시에 거품이 껴있는지를 판단하는 척도로 선호하는 ‘버핏지수’가 역대 최고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10월 29일 니혼게이자신문에 따르면 미국에 본점을 둔 모든 기업들의 주식을 편입하는 주가지수인 월셔 5000을 기초로 한 시총을 GDP로 나눈 결과 9월 말 기준 약 2배(194%)를 기록했다. 이는 집계가 시작된 1997년 이래로 역대 최고 기록이다.
2021년에는 금융완화와 재정확대가 주가를 끌어올리는 바람에 189%를 기록했지만, 최근 주가 상승 배경엔 미국 기업들이 해외에서 벌어들이는 수익의 증가율이 GDP 증가율보다 빠른 것이원인으로 꼽힌다. 2008~2009년만 해도 애플은 자국 내 매출이 해외 매출을 웃돌았지만 지금은 해외매출 비중이 60%가 넘는다.
미국의 버핏지수가 200%에 육박한 것에 대해 히토쓰바시대 대학원의 후지타 쓰토무 객원교수는 “변동환율제 도입에 따른 금융시스템 자유화와 소련 붕괴에 따른 경제자유주의화로 세계화가 가속화되면서 국내 경기와 주가는 정비례하지 않게 됐다”고 설명했다.
통상 버핏지수는 100%를 넘으면 해당 국가 증시에 거품이 껴있는 것으로 인식됐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 기준선이 150%로 높아졌다. 퀵팩트세트에 따르면 S&P500의 예상 주가수익비율은 지난 10월 24일 기준 21배로 과거 10년 평균을 웃돌고 있다.
닛케이는 “현재도 미국 주식이 비싸다는 인식이 있다”면서도 “연방준비위원회의 금리 인하로 미국 경제가 연착륙할 수 있다는 낙관이 퍼져 증시 상승 가능성은 높다”고 전했다.
골드만삭스는 10월 기업들의 수익 증가와 탄탄한 거시경제를 바탕으로 S&P500의 연말 목표 주가를 기존 5,600에서 6,000으로 상향했다.
“내년 미·홍콩행 中기업 IPO 늘어난다”
최근 글로벌 기업공개(IPO) 시장이 회복 조짐을 보이면서 내년 미국과 홍콩 증시 상장을 추진하는 중국 기업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CNBC는 지난 10월 28일 “중국과 미국의 무역 긴장 고조, 고금리 등으로 인해 위축 됐던 IPO 시장이 올해 있었던 중국 기업들의 잇따른 성공적 해외 상장들을 계기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며 “분석가들은 내년에 미국과 홍콩에서 중국 기업의 상장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2021년 뉴욕 증시에 상장했던 중국 최대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 디디추싱이 1년도 채 되지 않고 상장 폐지 수순을 밟은 뒤로 그동안 중국 기업의 미국 상장은 발길이 끊긴 상태였다. 당시 디디추싱이 상장 이틀 만에 미 규제당국의 강도 높은 사이버 보안 조사를 받은 데 이어 미운털이 박힌 중국 당국으로부터는 80억 위안에 달하는 과징금 철퇴를 맞은 것이 미국 상장을 검토하던 중국 기업들에 부담으로 작용한 것이다.
그러나 올해 들어 중국 기업들의 미국 시장 IPO도 조금씩 활기를 되찾는 분위기다. 지난주엔 중국 자율주행 업체 위라이드가 나스닥에 상장해 첫날 장중 20% 넘게 급등했으며, 이달 초엔 중국 로보택시 업체 포니 AI가 미 증권거래위원회에 나스닥 상장을 신청했다. 미국의 대중 IPO 규제 강화로 반사이익을 누렸던 홍콩 IPO 시장도 상승세를 탔다. 지난주엔 중국의 생수 업체인 차이나리소시스베버리지와 자율주행 기술 업체인 호라이즌 로보틱스가 홍콩 증시에 입성했다.
홍콩 소재 사모펀드 모리슨 포스터의 엘리스 글로벌 공동의장은 “몇 년간의 침체기를 거친 IPO 시장이 내년에 마무리되는 미국 대선과 금리 하락에 힘입어 회복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아직 미국과 중국 간 규제 문제에 대한 시장의 부정적 인식이 있지만, 중국 본토 상장의 어려움과 주주들의 빠른 엑시트에 대한 압박으로 인해 중국 기업들이 홍콩이나 뉴욕 상장에 점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채무, 2028년엔 ‘1,565조 원’ 전망
2028년에는 나랏빚이 당초 정부 예상보다 53조 원 늘어나 1,565조 원에 달할 것이라는 국회 예산정책처(이하 예정처)의 전망이 나왔다. 예정처는 정부 재정건전성을 위해선 지속적인 지출구조조정과 함께 과도한 감세 정책을 재정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정부가 30조 원에 달하는 올해 세수 결손을 메우기 위해 각종 기금을 동원하는 것에 대해서는 “국가채무의 질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 역시 올해 46.2%에서 2027년 51%로 역대 최초로 50%를 넘긴 뒤 2028년 52.4%로 상승한다. 당초 지난해 국가채무 비율이 GDP의 50%를 넘긴 것으로 나왔지만, 올해 6월 국민계정통계 기준연도가 변경되면서 국가채무 비율도 46.9%로 하향 조정된 바 있다. 그러나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에도 지출이 매년 수입을 상회하면서 앞으로 50% 돌파가 기정사실이 됐다는 전망이다.
더 큰 문제는 나랏빚 증가 속도가 더 빨라진다는 것이다. 지난 8월 기획재정부는 2028년 국가채무를 1,512조 원으로 예상했다. 예정처보다 약 53조 원 적게 추산한 것이다. 국가채무는 중앙정부 채무와 지방정부 채무를 더해 추산된다. 예정처는 지방정부 채무를 기재부 전망을 차용했다. 따라서 예정처와 정부의 나랏빚 증가 ‘속도 차’는 중앙정부의 적자 증가 속도 전망이 다른 데서 비롯된 것이다. 실제 정부는 예정처보다 올해 포함 5년간 총수입이 48조 원 크고 지출은 20조 8,000억 원이 적을 것으로 봤다.
예정처는 정부의 재정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지출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정부가 의도하는 재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량지출 증가율을 연평균 1.1%로 제한하는 지출구조조정과 세외수입 확충이 달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5대 금융, 3분기까지 순이익 16.5조 넘어가
국내 5대 금융지주사들이 올해 들어 3분기까지 16조 5,000억 원이 넘는 순이익을 거둬들였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지난 2022년 기록했던 역대 최고 실적을 훌쩍 넘어섰다.
지난 10월 29일 금융권과 각사에 따르면 5대 금융그룹의 3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16조 5,551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5조 6,414억 원 대비 5.9% 증가한 규모다. 2022년 3분기 기록했던 기존 최대치인 15조 8,261억 원 규모를 큰 폭으로 웃도는 사상 최고 실적이다.
KB금융지주의 누적 순이익은 4조 3,699억 원으로 선두를 기록했다. 지난해 4조 3,520억 원 대비 0.4% 늘었다. 3분기 순이익은 1조 2,386억 원이었다.
신한금융지주의 누적 순이익은 3조 9,856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4.4% 늘었다.
우리금융지주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해 2조 6,591억 원으로 나타났다. 3분기 순이익은 9,036억 원을 기록했다.
농협금융지주는 전년 동기 대비 13.2% 증가하여 2조 3,15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5대 금융지주사들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다.
금융지주 핵심 계열사인 5대 시중은행 실적을 보면 신한은행 순이익이 3분기 누적 3조 1,028억 원으로 선두를 달렸다. 지난해 2조 5,991억 원 대비 19.4% 급증한 것이다. 하나은행은 3분기까지 순이익 2조 7,808억 원을 시현했다. 지난해보다 0.5% 증가한 수준이다.
※ 저작권자 ⓒ 한국마케팅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TOP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