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돋보기

의료기기 새로운 ‘K-트렌드’ 이끈다

  • 최민호 기자
  • 기사 입력 : 2025-06-13 01:37:16
  • x

<알아두면 쓸모있는 식약정보>


▷ 사진: 게티이미지프로

식약처 ‘2024년 국내 의료기기 생산·수입·수출 실적’에 따르면, ‘디지털의료기기’의 생산·수출액이 전년 대비 32.4%, 45.4% 증가하고, 2023년 감소했던 전체 의료기기 생산·수출액이 전년 대비 1.0%, 1.4% 증가하며 반등하는 등 의료기기 시장이 성장세를 기록했다.

올해 1월 시행된 .디지털의료제품법.에 따라 집계한 지난해 디지털의료기기의 생산.수출.수입액은 각각 5,472억 원, 4,563억 원, 2,659억 원이다.

디지털의료기기 생산·수출액은 전년 대비 각각 32.4%, 45.4%로 증가한 반면 수입액은 4.4% 감소했다. 특히, 전체 생산액 규모가 수입액 규모를 2배 이상 상회하면서 국내 ICT 기술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중심 디지털의료기기의 성장세가 지속됐다.

특히, ‘AI 기술이 적용된 초음파영상진단장치’가 디지털의료기기 생산액.수출액 1위를 차지했으며, ‘의료영상의 전송.저장에 사용되는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이 그 뒤를 이어 생산액.수출액 2위를 차지했다. 생산액 3위는 ‘AI 기반 생체신호분석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수출액 3위는 ‘치과의료영상분석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였다.


생산액 반등하며 수출 시장 다변화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액과 수출액은 각각 11조 4,267억 원, 7조 1,7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 1.4%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국내외 진단기기 수요 급감으로 감소했던 생산.수출액이 다시 상승했다. 수입액은 6조 2,877억 원으로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의료기기 산업의 무역수지는 8,823억 원으로 전년 대비 43.7% 증가해 5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반면, 국내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10조 5,44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했다. 하지만 최근 5년간 8.8%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였다.

일반의료기기 생산액은 10조 4,294억 원, 수출액은 6조 2,203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0%, 5.5% 증가했으며, 2020년 이후 5년간 성장세를 유지했다.

체외진단의료기기의 생산액은 9,973억 원, 수출액은 9,497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5.8%, 19.1% 감소했다. 이는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 등 코로나19 관련 품목의 글로벌 수요가 줄어들면서 생산·수출이 여전히 감소세에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에는 주요 수출국인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의 수출액이 전체 수출액의 38.8%(20억 4,000만 달러)로 전년(43.2%) 대비 4.4% 감소한 반면, 독일, 브라질, 태국, 베트남 등 유럽, 남아메리카와 아세안 국가의 수출액은 증가하여 의료기기 수출 시장이 다변화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용 임플란트 생산액·수출액은 최근 5년간 연평균 19.7%, 25.3%의 증가율을 보이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는 2년 연속 생산.수출액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수입액 1위는 2023년에 이어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로, 최근 5년 연평균 12.0%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의료기기 제조.수입업체 수는 전년(7,186개소) 대비 3.0% 증가한 7,404개(제조 4,346개, 수입 3,058개)로 나타났으며, 지난해 의료기기 제조.수입업체 종사자는 총 15만 740명으로 전년(14만 4,925명) 대비 4.0% 증가했다.


KTL, 국내 의료기기 기업 수출 전폭 지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하 KTL)도 대규모 전시회 등에 적극 참여해 국내 의료기기의 우수성을 알리고 해외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의료기기 산업의 발전과 수출 지원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0년 KTL을 국고보조금 사업인 ‘의료기기사업화 촉진 사업’ 전문기관으로 선정하고 국내 의료기기 기업들의 해외 시장 진출 지원에 나섰다. 그 결과 지난 한 해 동안 59개 의료기기 중소벤처기업이 총 244억 원 이상의 수출 증가를 기록했다.

지난 3월 KTL은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에 참여해 2개 기업(피부미용·고주파 자극기 분야)과 함께 공동부스를 운영했다. 이중 한 기업은 2023년 KTL을 통해 의료기기 해외 시장 진출 코칭을 받았고, 다른 한 기업은 지난해 의료기기 신뢰성 제고 분야 보조금 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다.

KTL 박성용 바이오의료헬스본부장은 “정부 보조금사업을 통해 국내 의료기기 기업의 해외 수출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 뜻깊다”며 “향후 전시회 참가뿐 아니라 해외바이어 초청 프로그램을 개설하는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국내 중소벤처기업들의 해외 시장 진출을 힘껏 뒷받침 하겠다”고 밝혔다.

 
최민호 기자fmnews@fmnews.co.kr

※ 저작권자 ⓒ 한국마케팅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