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의 8,000년 전통과 예술이 빚은 한 잔
Special Global Interview - 체레텔리 와이너리
레반 치르그바바 회장, 타티아 키르트바이아 이사
조지아의 ‘체레텔리 와이너리’는 약 8,000년의 와인 전통을 가진 조지아의 와인 기업이다. 체레텔리 와이너리의 이름은 조지아의 세계적인 조각가이자 화가, 건축가인 주랍 콘스탄티노비치 체레텔리의(Zurab Konstantinovich Tsereteli) 이름에서 시작됐다. 수세기 동안 이어져 온 와인 양조에 대한 경험과 국제 시장의 현대적인 요구에 맞춰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은 와인을 만드는 체레텔리 와이너리에 대해 와인 박람회를 위해 한국에 방문한 레반 치르그바바(Levan Tsirgvava) 회장과 타티아 키르트바이아(Tatia Kirtbaia) 이사에게 들어보았다.

Q1. 조지아는 흔히 와인의 발상지라고 불립니다. 체레텔리 와이너리는 이 유구한 역사를 브랜드와 제품에 어떻게 활용하고 있나요?
조지아의 와인 양조는 8,000년 전부터 시작되었으며, 유네스코에서도 ‘와인의 발상지’로 인정받았습니다. 우리는 조지아 전통 방식인 점토 항아리를 사용해 와인을 빚고 있습니다.
이 항아리는 달걀 모양을 하고 있으며, 지면과 맞닿아 땅속 일부에 묻힌 형태입니다. 땅 위에 세워 두는 ‘포터(포어러)’와 달리, 항아리 자체가 땅속에 자리한다는 점이 특징이죠.
발효·숙성 등 모든 과정이 자연적으로 땅속에서 이뤄져 인간의 손을 거의 타지 않습니다. 이러한 전통 방식으로 만든 와인과 유럽식 방식으로 만든 와인 두 가지를 모두 생산하고 있습니다.
전통 방식(Qvevri)으로 만든 와인은 탄닌·아로마맛이 독특해 유럽 소비자들이 이해하기 어렵기도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프랑스산 오크통이나 스테인리스 탱크를 써서 유럽 스타일 와인도 함께 생산합니다.
Q2. 조지아 와인을 해외로 수출할 때 가장 큰 어려움과 기회는 무엇인가요?
가장 큰 어려움은 낮은 글로벌 인지도입니다. 세계적으로 조지아가 와인 양조의 시원지이며 525종이 넘는 토착 포도 품종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소비자가 많지 않습니다. 시음 행사·교육·파트너십을 통해 이러한 정보 격차를 해소하는 일이 최대 난관이자 동시에 기회입니다.
Q3. 향후 5년간 회사의 핵심 전략과 비전은 무엇인가요?
우선 자사 와인과 조지아 와인 자체를 한국 등 해외에 적극 알리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포도 유전(수집) 포도원을 운영하며, 사라진 품종을 되살리고 있습니다.
구소련 시절 두 품종(빨강 ‘사페라비’, 흰색 ‘르카치텔리’)만 남기고 나머지 500여 품종이 사라졌는데, 우리는 희귀 품종을 찾아 재배하고 있습니다. 동부 카헤티 지역과 서부 각 지역마다 품종이 달라 이를 모두 복원·육성해 새 와인을 만들려 합니다.
Q4. 전 세계적으로 내추럴·오가닉 와인의 인기가 올라가는데, 귀사에서도 계획 중인 내추럴·오가닉 와인이 있나요?
크베브리(Qvevri) 방식 자체가 첨가물을 넣지 않는 ‘자연발효’이므로 일종의 내추럴 와인입니다. 다만 국제 인증이 요구되는 ‘오가닉’ 와인은 오가닉 인증 절차가 복잡해 단계적으로 유기농 방식을 도입하고 있으며, 최고 품질의 내추럴 와인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제적 오가닉 기준 충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하 영문>
Tsereteli Winery is a Georgian wine company rooted in roughly 8,000 years of winemaking heritage. The winery takes its name from world-renowned Georgian sculptor, painter, and architect Zurab Konstantinovich Tsereteli. To learn how the winery combines centuries of experience with modern market demands, we spoke with Founder Levan Tsirgvava and Export Manager Tatia Kirtbaia, who visited Korea for a wine fair.
Q1. Georgia is often called the birthplace of wine. How does Tsereteli Winery incorporate this long history into its brand and products?
Winemaking in Georgia began 8,000 years ago, and UNESCO has recognized the country as the birthplace of wine. We use traditional Georgian clay vessels to make our wines.
These vessels are egg-shaped and partially buried in the ground, unlike a ‘pourer’ that stands above ground; the vessel itself sits in the earth.
Fermentation and aging take place naturally underground with almost no human intervention. We produce both wines made by this traditional method and wines made in the European style.
Qvevri wines have distinctive tannins and aromas that can be hard for European consumers to appreciate, so we also make European-style wines aged in French oak barrels or stainless-steel tanks.

Q2. What are the greates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when exporting Georgian wine?
The biggest challenge is low global awareness. Few consumers know that Georgia is the cradle of winemaking and that we have more than 525 indigenous grape varieties. Closing this information gap through tastings, education, and partnerships is therefore both our greatest hurdle and our greatest opportunity.
Q3. What are the company’s key strategies and vision for the next five years?
First, we plan to promote our wines―and Georgian wine in general―more actively in overseas markets such as Korea. To that end, we run a collection vineyard and are reviving lost grape varieties.
During the Soviet era, only two varieties―red Saperavi and white Rkatsiteli―survived while more than 500 others disappeared. We are finding and cultivating these rare varieties. Because grape varieties differ between eastern Kakheti and the western regions, we aim to restore and nurture them all to create new wines.
Q4. Natural and organic wines are gaining popularity worldwide. Does Tsereteli have plans for natural or organic wines?
The qvevri method itself is a form of natural fermentation with no additives, so it is essentially a natural wine. Obtaining international organic certification, however, involves complex procedures. We are gradually adopting organic practices while striving to provide wines of the highest natural quality and to meet global organic standards.
공병헌 기자mknews@mknews.co.kr
※ 저작권자 ⓒ 한국마케팅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목록으로
TOP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