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화에 앞서 지역 대표들의 포부를 밝힌다
<2012년 8월 24일>
국내 소비자 10명중 7명은 수입산 식품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소비자 500여명을 대상으로 ‘수입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구매행동’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 유통되는 수입식품의 안전에 대해 응답자의 70.8%가 ‘불안하다’고 답했다. <‘보통이다’ 24.0%, ‘안전하다’ 5.2%>
나이가 많을수록 수입산 식품에 대한 불안감도 커 50대 이상의 76.4%, 40대 72.9%, 30대 67.7%, 20대 56.0% 순으로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
원산지별로는 중국산 먹거리를 가장 불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산 식품에 대해 ‘불안하다’는 응답이 89.7%로 최다였고, 일본산과 미국산 식품을 우려한다는 응답도 각각 67.2%, 62.6%인 것으로 조사됐다. 유럽산(23.1%)과 호주·뉴질랜드산(16.9%)을 걱정한다는 응답자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수입산 먹거리 중 불안한 품목으로 응답자들은 ‘축산물’(51.2%)을 가장 많이 꼽은 데 이어 농산물(40.7%), 수산물(28.1%), 건강기능식품(13.4%), 유가공품(12.6%), 양념류(12.0%) 등을 차례로 꼽았다.
소비자들은 가격이 비싸도 국내산을 수입산보다 선호하고 있었다. ‘가격이 비싸더라도 국내산 식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4.8%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 15.3%, ‘모르겠다’ 19.9%>
국내산과 수입산에 따라 식품선택 기준도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식품에 대해 응답자들은 ‘신선도’(50.1%), ‘유통기한’(37.2%), ‘안전인증마크’(30.2%)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반면 <‘원산지역’ 29.8%, ‘영양/성분표시’ 13.5%, ‘포장상태’ 2.8%>, 수입식품에 대해서는 ‘원산지’(71.4%), 유통기한(35.2%), ‘안전인증마크’(31.6%) 등을 중시하고 있었다. <‘신선도’ 19.9%, 영양/성분표시 9.5%, ‘포장상태’ 6.6%>
수입식품 구입 시 가장 불안한 쇼핑장소로는 ‘인터넷’(62.6%), ‘전통시장’(55.9%), ‘슈퍼마켓’(52.1%), ‘홈쇼핑’(47.1%), ‘대형마트’(14.5%), ‘백화점’(10.9%) 순이었으며,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로는 ‘TV, 라디오 등 방송매체’(55.3%), ‘인터넷’(42.1%), ‘신문 등 인쇄매체’(26.0%), ‘주위사람’(2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한국마케팅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전국화에 앞서 지역 대표들의 포부를 밝힌다